Our 3D CAD supplier models have been moved to 3Dfindit.com, the new visual search engine for 3D CAD, CAE & BIM models.
You can log in there with your existing account of this site.
The content remains free of charge.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8월) |
후륜구동(後輪驅動, 다른 말로 후륜굴림, 뒷바퀴굴림, Rear Wheel Drive, RWD)은 엔진에서 뒷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주로 엔진을 앞에 배치하여 뒷바퀴를 굴리는 방식인 FR 방식이 이용되지만, 엔진 설치 위치에 따라 MR, RR 등 다양한 방식의 자동차도 존재한다. 후륜구동은 이륜차에 널리 사용되지만, 사륜차에도 이용되고 있는데, 예전에는 일반 승용차에서도 주류인 구동방식이었다. 여기에서는 주로 사륜차에 있어서의 후륜구동에 대해 서술한다. 후륜구동에는 주로 프론트 엔진 리어 드라이브(후륜 구동) 방식(FR), 미드십 엔진 리어 드라이브 방식(MR), 리어 엔진 리어 드라이브 방식(RR) 등 3개방식이 있으며, 단순히 '후륜구동'이라 하면 이 셋을 모두 포함한다.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후륜구동이라고 하지 않고 FR, MR, RR이라고 하는 경우도 많다. 트랜스미션과 엔진의 탑재 방법은 FR은 세로로 배열하는 종치(縱置)가 이용되지만, MR와 RR은 가로로 놓는 횡치(橫置)가 이용된다. 단, 대형 버스만은 MR과 RR도 종치로 배열된다. 하지만 대우 아카디아(혼다 레전드)처럼 엔진이 세로로 놓이면서 전륜구동인 차량도 존재하기도 하며, 이 방식은 아우디의 모델 중 콰트로 이외의 전륜구동 모델에서 볼 수 있다.
프론트 엔진 후륜 구동 방식(줄여서 FR)은 차체 앞부분에 엔진(보통 엔진의 위치가 앞좌석 앞인 승용차와는 달리, 트럭은 엔진의 위치가 앞좌석 밑이다.)를 배치하여 프로펠러 샤프트를 통해 회전력을 뒤로 보내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방식이다. 따라서 FR 차량들은 엔진을 세로로 배치한다. 승용차에서는 비교적 큰 엔진이 있는 대형차나 스포츠카에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트럭은 화물을 운반할 때 이용하므로 굳이 FF로 하여 얻는 이점이 없기 때문에 보통은 FR 방식으로 되어 있다.
(단, 6번째 단점은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는 것만으로도 해결할 수 있다.)
미드십 엔진 리어 드라이브 방식(MR)은 차체 뒷부분 중, 후륜 차축보다 앞, 차체 중앙 근처에 엔진을 배치하여 후륜을 구동시키는 방식이다.
RR은 차체 뒷부분(후륜 차축보다 뒤)에 엔진을 배치하여 후륜을 구동시키는 방식이다.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후륜구동",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Car, Truck,MotorBike, Bicycle, Engine, Racer, B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