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3D CAD supplier models have been moved to 3Dfindit.com, the new visual search engine for 3D CAD, CAE & BIM models.
You can log in there with your existing account of this site.
The content remains free of charge.
휘발유(揮發油)는 석유 제품의 하나이며 석유의 휘발 성분을 이루는 빛깔이 없는 투명한 액체를 가리킨다. 미국에서는 흔히 가솔린(미국 영어: gasoline)이라고 불린다. 영국에서는 petroleum를 줄인 페트럴(영국 영어: petrol)이라고 부른다.
초기 석유 산업의 발달과 함께 석유 정제가 이루어질 무렵에는 등유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휘발유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휘발유의 사용 비중이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한 것은 가솔린 엔진이 개발되고부터 였으며, 특히 자동차의 대량 생산이 시작된 20세기 초부터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더불어 휘발유를 연료로 쓰는 농업기계의 개발로 곡물 생산량 증가에도 기여를 하였다.
현재 휘발유는 자동차와 왕복 엔진과 프로펠러를 장착한 비행기 등의 연료나 도료, 고무 가공, 세척용, 드라이 클리닝 등으로 쓰이며,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자동차의 가솔린 엔진이다.
휘발유의 끓는점은 약 30~200℃이며, 상온에서 쉽게 증발하는 성질이 있다. 인화성도 매우 좋아서 휘발성분이 공기와 혼합하면 전기 스파크 같은 자극에서도 쉽게 폭발한다. 때문에 휘발유를 취급할 때는 최대한 밀폐된 용기에 담아야 증발을 막아서 휘발성분으로 인한 폭발을 막을 수 있다.
천연가스에서 분리되는 천연휘발유, 원유를 증류하여 얻는 직류휘발유, 중질 석유 유분의 분해로 만들어지는 분해휘발유, 직류휘발유를 개질하여 만든 개질휘발유, 탄소수가 적은 올레핀을 중합시켜 만든 중합휘발유 등이 있다.[1]
보통은 원유를 증류하여 분리하는 '정유'과정을 거쳐 얻는 직류휘발유의 비중이 크다. 끓는점은 30~140℃ 정도이다. 천연휘발유는 유전에서 석유와 함께 생산되는 습성 천연 가스에서 분리하여 얻으며 'NGL(Natural gas liquids)'이라고 한다. 끓는점이 낮고 옥탄값이 높아 겨울용 휘발유에 배합하여 쓴다.
오일 셰일을 통하여 휘발유를 제조할 수 있으나, 원유 생산에 드는 비용이 많이 들어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2014년 ~ 2015년 들어 셰일 오일 채취 비중이 커지면서 2015년부터 시작된 지속적인 원유 하락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셰일 오일은 불순물이 적은 고품질 원유라 정제과정에서 휘발유를 많이 생산하기 때문이다.[2]
고급 휘발유는 옥탄이라는 물질을 첨가하여 발화점을 높임으로써 노킹을 막을 수 있도록 제조된 휘발유다. 노킹(knocking)은 뜨겁게 달궈진 실린더 온도 때문에 이중연소(불완전연소)가 되는 상태를 뜻하는데, 노킹 발생시 동반되는 소음과 진동이 느껴질 정도면 엔진에 균열이 생기고 빈 틈이 생겨 내구성이 저하된다.
보통 차량용으로 사용하는 휘발유의 옥탄가는 85~96, 고급 휘발유는 97~102, 휘발유를 사용하는 항공기는 103~130 정도이다.
다르게는 옥탄가가 높다는 의미로 "하이옥탄"으로 부른다. 일본에서는 하이오크(ハイオク)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도료, 세정, 기름종이 추출, 드라이 클리닝과 같이 연료 이외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휘발유이다. 일본 규격의 경우 다음의 5가지로 나뉜다.
휘발유에서는 위의 노킹 현상을 막기 위한 첨가제 외에 여러 가지 첨가제가 들어가는데, 휘발유가 산화되는 것을 막는 산화방지제, 겨울철에 연료가 얼어버리는 현상을 막는 부동액, 연료 탱크와 연료관에 녹이 발생되는 것을 막는 녹방지제, 연소 후에 엔진에 생기는 침전물을 없애거나 생기지 않도록 하는 청정제와 침전물 제거제, 금속 이물질로 인해 휘발유가 변질되는 것을 막는 금속 불활성화제 등이 있다.
휘발유가 구성되는 탄화수소의 혼합물은 정유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조성된다. 이 혼합물의 조성을 조성하여 다양한 장소 및 기후 조건에서 엔진 작동을 안정되게 해준다.
휘발유의 탄화수소 중 낮은 온도에서 증발하는 탄화수소 성분이 있는데, 이런 성분이 많은 휘발유는 열이 많을 때 쉽게 증기가 되어버리는 '베이퍼록' 현상을 유발하여 연료가 엔진으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여름철이나 더운 기후에서는 낮은 온도에서 증발하는 탄화수소 성분이 적은 휘발유를 사용하여 베이퍼록 현상을 방지한다. 겨울철이나 추운 기후에서는 낮은 온도에서 증발하는 탄화수소 성분이 많은 휘발유를 사용하여 차가운 엔진에서도 쉽게 시동이 될 수 있도록 한다.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휘발유",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 - 3D CAD - 3D Models - 3D Library - Mechanical Engineering - Maschinenbau , Architecture Engineering - Architektur - BIM, Electrical Engineering - Elektrotechnik, Mechatronic - Mechatronik, Plant Design - Anlagenbau, Marine - Offshore Onshore - Food Service - Interior Architecture Innenarchitektur - Furnitures Möbel - Automotive - IoT Internet Of Things Industry 4.0 Industrie 4.0 Digital Twin Manufacturing 2025 - Chemistry - Food Service - Landscape Architecture - Exterior Archite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