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3D CAD supplier models have been moved to 3Dfindit.com, the new visual search engine for 3D CAD, CAE & BIM models.
You can log in there with your existing account of this site.
The content remains free of charge.
Licensed under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Anynobody).
텍스처 매핑(texture mapping)[1][2][3]은 컴퓨터 그래픽스분야에서 가상의 3차원 물체의 표면에 세부적인 질감의 묘사를 하거나 색을 칠하는 기법이다. 일반적으로는 수식이나 2차원의 그림을 3차원 물체의 표면에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 적용하고 이에 따라 컴퓨터 그래픽 화면을 만들어 나갈 때 마치 실제의 물체처럼 느껴지게 끔 그 세부 묘사를 하는 것이다. 이는 사실적인 3D 장면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다각형 및 조명 계산의 수를 대폭 줄이게 해준다.
쉽게 말하자면 지도를 제작할 때 입체인 지구표면은 평면으로 바꾸는 방법을 쓰지만 텍스처 매핑의 경우에는 그 반대로 2차원을 3차원에 적용하는 것이다. 에드윈 캣멀의 1974년 박사 학위 논문에서 처음 개척되기 시작했다.[4]
텍스쳐 매핑의 종류로 높이 매핑, 범프 매핑, 노말 맵핑, 변위 맵핑(displacement mapping), 환경 매핑(reflection mapping), 반사 매핑(specular mapping), 밉맵, 폐쇄 맵핑(occlusion mapping) 등이 있다.
텍스처 맵(texture map)은 2차원의 컴퓨터 그래픽 그림으로 도형 또는 면의 단위인 폴리곤의 겉에 적용된다. 이 과정은 마치 아무 색이 없는 상자에 무늬가 그려진 종이를 붙이는 것과 비슷하다. 위의 예제 그림에서는 지구의 표면의 텍스처 맵을 구에다가 입혀서 실제로 3차원 물체를 세부적으로 묘사하는 대신 그 세부적인 입체적 묘사를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범프 매핑은 2차원의 컴퓨터 그래픽 그림의 내용을 표면의 질감을 묘사하기 위해 그림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대신 표면의 올록볼록한 정도를 나타내는 데 쓰인다. 이를 사용하면 오렌지 표면과 같은 질감을 쉽게 표현할 수 있다.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텍스처 매핑",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Landscape,Maps,Terrain,Profile,LIDAR,Earth,360 Grad,Panorama,GIS,generator,reality,online,Scenes,cartography,topology,Geo,ESRI,CityGML,K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