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3D CAD supplier models have been moved to 3Dfindit.com, the new visual search engine for 3D CAD, CAE & BIM models.
You can log in there with your existing account of this site.
The content remains free of charge.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2.5 (No machine-readable author provided. Danleo~commonswiki assumed (based on copyright claims).).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8월) |
철도역(鐵道驛), 또는 정차장(停車場)은 열차가 정차하는 장소이다. 철도 선로 주변에 승강장 등 약간의 시설물을 설치하여 만든다.
철도역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구분한다.
지상역은 역이 지상에 입지하여 있는 경우를 의미하며, 가장 일반적인 역의 형태이다. 고가역이 아닌 지상역의 예로는 도시 철도에서 장암역 등이 있다. 고가역은 지상에 직접 역이 있는 것이 아니라 고가 선로로 역이 구성된 경우를 말하며, 도시 철도에서 흔하다. 고가역은 지상역과의 엄밀한 분류상의 종류이며, 엄밀히 구분하지 않는다면 고가역도 지상역이다.
도시 철도 처럼 지하 선로에 설치된 역을 지하역이라고 한다. 역시 전철역에 흔하며, 광명역도 주변 지형보다 아래에 선로가 있으므로 지하역이다.
지상과 지하의 경계선에 역이 있는 경우이며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한양대역, 부산 지하철 1호선의 노포역이 대표적이다.
지상역이나 고가역의 경우, 역의 본 건물이 선로 위에 입지한 경우 선상역이라고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선로 위에 역사가 있다 하여 선상역(線上驛)이라는 명칭을 흔히 쓰지만[1], 일본에서는 교상역(橋上驛)이라는 명칭을 쓴다. 서울역과 동대구역이 대표적이다.
선상역과 반대로, 역의 건물이 선로보다 아래에 입지한 경우를 선하역이라고 한다. 서광주역, 서천역, 여천역, 반성역이 그 예다.
철도역에서는 크게 운전 취급, 여객 취급, 화물 취급, 기타 차량의 취급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보통역은 운전 취급(입환, 분기 및 합류, 대피 등), 여객 취급, 화물 및 소화물 취급 등 철도역에서 수행하는 모든 업무를 수행하는 역을 의미하며, 이런 업무의 책임자로서 역장이 배치된다. 협의로 정의할 경우 세 업무가 모두 이루어지는 역을 말한다.
여객역은 화물 및 소화물 취급이 없는 역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화물 취급의 비중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운전 취급과 여객 취급을 모두 수행하는 역을 보통역으로 보기도 한다.
여객역 중에서 운전 취급이 없는 역의 경우, 그 이용객 규모와 관계없이 간이역으로 정의하나, 경원선 도봉산역처럼 간이역이면서 운전 취급을 하는 역도 간혹 있다. 또한, 여객역 중 특히 도시 철도나 광역 철도를 전담하여 처리하도록 시설이 구비된 곳을 전철역으로 구분한다.
특히 여객 취급이 없이, 화물만을 전담하여 처리하는 역을 의미한다. 화물 취급을 위해서는 운전이 필수불가결하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이 보통역의 위상을 가진다.
여객과 화물 취급이 없이, 운전 취급, 그 중에서도 입환을 위해 특별히 마련된 곳을 의미한다.
개중 전동차와 같이, 운행 전 별도의 열차 조성작업 없이 운행하는 고정 편성 열차를 유치, 점검하는 곳을 따로 차량기지로 호칭한다.
운전 취급의 일부, 즉 교행과 대피만을 수행할 경우 신호장, 분기와 합류만을 취급할 경우 신호소라고 부른다. 최근, 철도의 CTC화로 인하여 별도로 신호소를 편제하는 경우는 없으며, 이 경우 선로 상에서 분기와 합류가 일어나는 곳을 도중분기 혹은 분기점으로 칭한다.
역의 등급이라고도 한다. 역장의 직제상의 직급에 따라 구분한다.
과거 철도청 시절에는 역장의 공무원 직급에 따라, 3급역 부터 6급역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등급은 역의 규모(특히 지휘총괄의 범위)와 기능에 따라서 부여가 되며, 또한 의전상의 필요에 따라서 부여되기도 하였다.
과거 3급(부이사관), 4급(서기관) 역에 해당하며, 현재 1급역, 2급역에 상당한다. 한국철도공사 출범 이후에는 그룹대표역으로 칭해졌으나, 최근에 다시 관리역으로 호칭이 변경되었다.
관리역은 산하의 각 보통역을 관할하는 역으로, 대개 해당 지역에서 운전 취급상의 거점이거나, 여객이나 화물의 취급량이 큰 역인 경우가 많다.
과거 5급(사무관) 및 6급(주사) 역에 해당하며, 현재의 3급역에 상당한다. 운전 취급 업무가 부가되어 있으며, 대개 여객과 화물 취급이 존재하며, 역무원과 역장이 배치되는 역을 의미한다. 보통역은 인근한 무인역(무배치간이역)을 관리한다.
과거 6급 역에 해당하며, 현재 3급 역에 상당한다. 운전 취급이 없으나, 역무원이 배치될 만큼 여객이 발생하는 역을 의미한다.
역무원이 없는 역으로, 따라서 역장도 없다. 임시승강장 및 간이역 중 무배치간이역이 여기에 해당한다. 종종 보통역이나 배치간이역이 쇠퇴하여 역무원 및 역장이 철수, 무인역이 되기도 한다.
철도역은 기본적으로 역의 본 건물을 기본으로, 선로시설물, 여객 및 화물의 취급설비, 기타 편의시설로 이루어진다.
철도역이 수행하는 각 업무를 위하여 만들어지는 건물이며, 특히 역장 이하 각 직원이 근무하는 시설물이다. 역의 각 시설을 칭할 경우 역의 본 건물을 기준으로 명칭을 정한다(승강장 번호, 선로 번호 등).[2]
역에는 다양한 선로 시설물들이 있으며, 각각 소정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역의 본 건물을 기준으로 하여 순번으로 명칭을 붙이나, 필요에 따라서 기능을 기준하여 이름을 붙이거나 이 둘을 혼용하여 붙이기도 한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철도역",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CAD,Model,Libary,Railway, Train, Ship, Marine, Submarine, Automotive, Locomotive, Bike, Car, Formula 1, Space, Aircraft, Aerospace, Satelite, Automobile, Yac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