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3D CAD supplier models have been moved to 3Dfindit.com, the new visual search engine for 3D CAD, CAE & BIM models.
You can log in there with your existing account of this site.
The content remains free of charge.
이 문서는 계획되었거나 개발 중, 최근 공개한 우주선 또는 우주 계획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우주선 또는 우주 계획 일정 날짜가 다가오거나 더 많은 정보가 공개되면 문서의 내용이 바뀔 수 있습니다. |
케플러 우주망원경(Kepler space observatory)은 미국 항공우주국의 외계 지구형 행성 탐사용 우주망원경이다.[1] 케플러 계획은 외계 행성이 어머니 항성을 돌면서 항성을 가려 항성의 밝기가 감소하는 것을 감지할 목적으로, NASA가 개발한 우주 광도계를 이용하여 3년 반에 걸쳐 10만 개 이상의 항성들을 관측할 것이다. 이 계획은 독일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의 이름을 따왔다.[2]
케플러 계획은 NASA의 저비용(低費用) 디스커버리 계획의 일환으로 과학적 목적에 주안점을 두고 계획되었다. NASA의 에임스 연구 센터는 케플러 계획의 체계 개발, 계획 운영, 과학 자료 분석을 전담한다. NASA의 제트 추진 연구소가 케플러 계획의 개발을 담당한다. Ball Aerospace & Technologies Corp.가 케플러 비행 체계의 개발을 맡고 있다.
2010년 현재 골디락스 행성을 찾기 위해 발사된 우주망원경은 2006년 발사된 유럽의 COROT과 2009년 발사된 미국의 케플러 둘 뿐이다.
2016년 4월 10일 케플러 망원경이 연료 문제로 최소 작동 모드에 들어갔다고 알려졌다. 지구와 태양까지 거리가 1억 4,960만 km인데, 케플러 망원경은 현지 지구에서 7,500만 마일(1억 2천만 km) 떨어져 있다. 지구에서 전파, 빛이 도달하는데 13분 걸린다.[3]
케플러는, 궤도장반경 1.01319AU, 궤도이심율 0.03188, 공전주기 372.5일로 지구를 뒤따라서 태양주위를 돌고 있다. NASA는 남아 있는 두 개의 반작용 휠을 이용해 케플러 망원경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지와 자금조달 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케플러 우주망원경",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CAD,Model,Libary,Railway, Train, Ship, Marine, Submarine, Automotive, Locomotive, Bike, Car, Formula 1, Space, Aircraft, Aerospace, Satelite, Automobile, Yac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