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3D CAD supplier models have been moved to 3Dfindit.com, the new visual search engine for 3D CAD, CAE & BIM models.
You can log in there with your existing account of this site.
The content remains free of charge.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 DAJF / Wikimedia Commons).
신칸센(일본어: 新幹線; 신간선)은 일본의 고속 철도 체계이다. 1987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의 분할 민영화 전까지는 일본국유철도가 운영하였고, 현재는 JR 그룹 5개사가 운영하고 있다. 1964년 하계 올림픽을 대비하여 1964년 10월 1일 도카이도 신칸센이 최초로 개업하였다. 세계적으로 유일 무이한 일본 고속 철도인 신칸센 개통은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20년 만에 일본의 재기를 세계에 널리 알리게 된 계기가 되었으며, 지금도 일본 고속 철도 신칸센은 일본의 중요한 상징물 중 하나다. 2014년에 개통 50년을 맞이하였으며, 50년간 신칸센 내부 요인에 의한 사고 사망자가 단 1명도 없는 안전성으로도 유명하다.
일본 《전국 신칸센 철도 정비법》 제2조는 신칸센을 “주된 구간을 열차가 시속 200 km 이상의 고속도로 주행할 수 있는 간선 철도”로 정의하고 있다[1]. 신칸센은 구조 및 역할 면에서 재래식 철도와는 차이를 보이며, 일반철도부설법 외에 추가적으로 특별법을 제정함으로써 법적으로도 일반 철도와는 다른 취급을 받고 있다. 열차의 운행을 방해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일반철도에도 철도운영법과 형법 등에 규정이 있으나,[2] 신칸센특례법 등에 의하여 보다 엄격한 법적조치가 규정되어 있다[2].
일본 고속 철도 신칸센의 건설은 독립된 행정법인인 일본 철도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가 실시하며, 그 비용은 국가 및 철도가 통과하는 지역의 지자체가 부담한다. '신칸센의 운영은 모두 JR에 맡긴다'라고 구체적으로 명시된 법적 조항은 없으나, 운영은 JR 그룹의 해당 지역 여객철도 회사가 담당하고 있다.
일본 고속 철도 '신칸센'은 말 그대로, 기존 간선 철도 노선에 대한 ‘새로운 간선’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명칭으로, 이는 최초의 신칸센 노선인 도카이도 신칸센이 기존의 간선인 도카이도 본선의 확장 개념으로 건설되었기 때문이다. 일본 이외의 국가에서는 ‘탄환열차’(Bullet Train)나 ‘초특급’(Super Express)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1964년 도카이도 신칸선이 갓 운영을 시작하였을 때는 New Tokaido Line(신 도카이도 선)이라는 명칭으로 부르기도 했다(지금도 요코하마 시가 운영하는 지하철에서는 차내 전광판 표시에 이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지금은 역내 안내판 등에는 노선명으로는 Shinkansen을 사용하며, 열차명으로는 Superexpress 등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3]. 특급이라 또한 차내 방송의 경우에는 "Welcome to Shinkansen. This is the [열차명] superexpress..."와 같은 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1964년 도카이도 신칸센이 성공적으로 운행된 이후, 각지에서 신칸센 건설 요구가 빗발치자, 1973년 전국 신칸센 철도 정비법을 제정하면서, 제안된 노선을 정비 신칸센과 기본 계획선으로 나누어 정비 신칸센의 다섯 노선(도호쿠 신칸센, 홋카이도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큐슈 신칸센 나가사키 루트, 큐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을 우선적으로 건설하기로 했다.
그러나 신칸센의 건설에는 대규모의 재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제 사정에 따라 지연되는 경우가 많았고, 결과적으로 아직까지 정비 신칸센 노선의 많은 부분이 건설 중이다. 따라서 기본 계획선은 도카이 여객철도가 독자 추진하고 있는 주오 신칸센을 제외하면 거의 계획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재정 부담을 줄이면서 신칸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미니 신칸센이 두 노선에서 운행되고 있으며, 궤간 가변 열차로 운행되는 노선도 건설되고 있다.
계통 | 관할 회사 | 노선명 (경로명) | 구간 | 병행 재래선 | 비고 |
---|---|---|---|---|---|
도카이도 · 산요 · 큐슈 신칸센 계통 |
도카이 여객철도(이하 JR도카이) | 도카이도 신칸센 | 도쿄 ~ 신오사카 |
|
산요 신칸센 직결 운행 |
서일본 여객철도(이하 JR서일본) | 산요 신칸센 | 신오사카 ~ 하카타 | 도카이도 신칸센 직결 운행 큐슈 신칸센 직결 운행 | ||
큐슈 여객철도(이하 JR큐슈) | 큐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 |
하카타 ~ 가고시마추오 | 산요 신칸센 직결 운행 | ||
도호쿠 · 홋카이도 · 조에쓰 · 호쿠리쿠 신칸센 계통 |
홋카이도 여객철도(이하 JR홋카이도) | 홋카이도 신칸센 |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 도호쿠 신칸센 직결 운행 | |
동일본 여객철도(이하 JR동일본) | 도호쿠 신칸센 | 도쿄 ~ 신아오모리 | 홋카이도 신칸센 직결 운행 | ||
조에쓰 신칸센 | 오미야 ~ 니가타 | 도쿄 ~ 오미야 구간 도호쿠 신칸센 직결 운행 | |||
호쿠리쿠 신칸센[7] | 다카사키 ~ 가나자와 | 도쿄 ~ 다카사키 구간 도호쿠, 조에쓰 신칸센 직결 운행 | |||
야마가타 신칸센 | 오우 본선 후쿠시마 ~ 신조 | 미니 신칸센 도쿄 ~ 후쿠시마 구간은 도호쿠 신칸센에 직결 운행 | |||
아키타 신칸센 | 다자와코 선 모리오카 ~ 오마가리 오우 본선 오마가리 ~ 아키타 |
미니 신칸센 도쿄 ~ 모리오카 구간은 도호쿠 신칸센에 직결 운행 |
정비 신칸센 구간 중에서 착공하지 않은 구간만 해당된다.
도호쿠 신칸센의 경우, 2층 차량(E1계와 E4계)의 정규 운행에 대해서는 Max를 붙인다.
1964년 도카이도 신칸센에서 0계 차량이 최초로 운행된 이후, 현재까지 다양한 형식의 차량이 개발되어 운용되고 있다.
모든 차량이 동력분산식을 채용한 전동차이다.
신칸센 철도는 대부분의 구간을 시속 200km 이상의 속도로 운행하기 때문에, 기존 철도와는 다른 기술이 사용되었다. 속도뿐만이 아니라 승차감 및 안전성 면에서도 수준 높은 기술을 도입하여(300계, 500계는 주거성이 희생되었다.), 당시 세계 여러 국가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기도 하였다.
0계 (히카리, 고다마)
100계 (히카리, 고다마)
300계 (노조미, 히카리, 고다마)
400계 (쓰바사)
500계 (노조미, 히카리, 고다마)
700계 (노조미, 히카리, 고다마)
700계 (히카리 레일 스타, 고다마)
800계 (사쿠라, 쓰바메)
N700계 (노조미, 히카리, 고다마)
E1계 (MAX)
E2계 (나스노, 야마비코, 하야테, (아사마))
E3계 (나스노, 야마비코, 고마치)
E4계 (MAX)
E5계 (나스노, 야마비코, 하야테, 하야부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신칸센 | |
---|---|
운행 노선 | |
건설 및 계획 중인 노선 | |
계획 취소 노선 | |
열차 종류 | |
차량 | |
해외 수출형 | |
운영회사 | |
기타 |
고속철도 | |||||||
---|---|---|---|---|---|---|---|
고속 차량 |
| ||||||
국가 |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신칸센",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CAD,Model,Libary,Railway, Train, Ship, Marine, Submarine, Automotive, Locomotive, Bike, Car, Formula 1, Space, Aircraft, Aerospace, Satelite, Automobile, Yac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