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3D CAD supplier models have been moved to 3Dfindit.com, the new visual search engine for 3D CAD, CAE & BIM models.
You can log in there with your existing account of this site.
The content remains free of charge.
펌프(pump, 문화어: 뽐프)는 액체나 슬러리(진흙·시멘트 따위에 물을 섞어 만든 현탄액)를 이동하는 데에 쓰이는 장치이다. 펌프는 낮은 압력에서 더 높은 압력으로 액체를 움직이며 에너지를 시스템에 추가함으로써 압력의 차이를 나타낸다. (수력 시스템) 가스 펌프는 팬과 송풍기로 구성된 장치가 있는 HVAC와 같은 매우 낮은 압력의 기기를 제외하고는 보통 압축기라고 불린다.
펌프는 기계적인 힘으로 물질을 밀어내거나, 물리적인 끌어올림을 통해 압축의 힘을 사용한다.
최초의 펌프 종류는 기원전 7세기, 아시리아 왕 시절에 수력 시스템을 위해 센나케립이 처음 사용했던 아르키메데스 나사였다. 나중에 아르키메데스가 기원전 3세기에 더 자세하게 서술하였다. 기원후 13세기에 알자자리가 왕복 펌프, 수력 펌프, 피스톤 펌프와 같은 펌프의 여러 종류를 설명하고 서술하였다.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각주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2년 5월 31일에 문단의 출처가 요청되었습니다.) |
사전에 의하면, 펌프란 공기, 액체 등을 한쪽 구멍에서 흡입, 다른 쪽 구멍으로 밀어내거나 토출하도록 만든 기계라고 되어있다. 펌프가 액체를 흡입, 토출하는 원리는 대기를 구성하는 공기의 무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공기분자가 날아다니고 있을 때 어떤 장애물에 부딪치면 충격을 받는다. 이는 F=ma라는 물리법칙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식을 통해 물체는 무거울수록, 빠를수록 충격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기 중의 공기 분자 한 개의 충격력은 매우 작지만, 대량으로 모이면 꽤 큰 충력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높은 곳일수록 힘이 작고, 지표에 가까울수록 힘이 크다. 지표 부근에서는 1평방센치미터 당 약 1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압력은 단위 면적 당 가해지는 힘으로 표시된다. 보통 1평방 센치미터 당 몇 kg의 힘이 작용하는가를 나타내며 kgf/cm2 라는 단위로 표시한다.
물의 밀도가 4oC에서 1g(1g/)인 것을 이용하여 표시한 압력이다. 예를 들면 대기압(1.033kgf)은 10.33mAq에 상응한다.
수은의 밀도가 약 13.55g/임을 이용한 압력의 단위이다. 수은의 물에 대한 비중은 13.55이므로 10.33mAq는 0.76mHg가 된다.
절대압은 진공을 기준으로 측정한 것으로, 게이지압은 대기압을 기준으로 측정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계에 표시되는 압력은 게이지압으로 이 값에 대기압을 감하면 절대압을 얻을 수 있다.
대기압에서 공기를 모두 제거하면, 압력이 더이상 저하되지 않는 절대 진공 상태가 되는데, 이 때의 절대압은0mAqabs 또는 0mHgabs로 표시되며 대기압을 기준으로 -0.76mHgG로 표시된다.
긴 시험관을 수은 안에 완전히 가라앉히어 막힌 쪽을 수직으로 세우면 수은이 관내를 상승하게 된다.그리고 약 76cm의 높이에서 정지한다. 시험관 안은 공기가 전혀 없기 때문에 무압 상태인데, 수은은 대기압에 눌려 시험관 내를 상승하게 된다.수은의 무게와 대기압에 의한 힘이 맞닿는 지점까지 이르면 평형상태가 되어 수은의 상승이 멈추게 된다. 수은이 76cm 상승한 위치가 대기압과 같은 0.76mHg 가 된다.수은 대신 물을 이용하면 약 10m정도를 상승하게 된다.바꾸어 말하면, 시험관 안에 발생한 진공에 의해 액체가 흡입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이 펌프가 액을 흡입하는 원리이다.즉, 펌프란 기계적으로 진공과 고압을 만드는 장치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10m 이상 아래에 있는 유체를 흡입할 수 없다. 이는 물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유체의 종류에 따라 흡입할 수 있는 높이는 다르다. 따라서 펌프는 일반적으로 지상에 설치하게 되며, 불가피하게 상단에 설치할 경우에도 최대한 낮게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각주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2년 5월 31일에 문단의 출처가 요청되었습니다.) |
펌프는 크게 회전식(예 : 원심펌프,centrifugal pump)과 용적형(왕복펌프, reciprocating pump) 펌프로 구분할 수 있다.
펌프 안의 회전날개나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발생하는 원심력이나 추진력을 이용, 액체를 토출하는 펌프.회전날개차의 원심력에 의해 액체가 밀려나면서 생긴 부압으로 액을 흡입한다. 연속적으로 액체를 흡입하여 밀어올리는 것이 가능하고 대량이송이 가능하지만, 출구측의 압력변동에 영향을 받기 쉽다. 원심펌프와 프로펠러펌프, 점성펌프, 회전식 용적 펌프 등으로 나뉜다.
용적형펌프는 전동기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펌프 측 또는 피스톤 끝에 설치된 격막이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발생하는 여압과 부압을 이용한 펌프이다. 펌프실의 용적을 증감시키는 방법으로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정량특성이 우수하고 출구측 압력변화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나, 압력의 변화가 펌프의 사양을 초과할 경우 토출량이 0가 된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펌프",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Aveva Tribon, Aveva PDMS, Intergraph Smartplant, Intergraph Smartmarine, Offshore, Onshore, Marine, Shipyard, Plant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