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3D CAD supplier models have been moved to 3Dfindit.com, the new visual search engine for 3D CAD, CAE & BIM models.
You can log in there with your existing account of this site.
The content remains free of charge.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4.0 (MonsieurNapoléon).
마르스 광장에서 바라본 에펠 탑. | |
정보 | |
---|---|
위치 | 프랑스 파리 시 |
지리 좌표계 | 북위 48° 51′ 30″ 동경 2° 17′ 40″ / 북위 48.8583° 동경 2.2945° / 48.8583; 2.2945좌표: 북위 48° 51′ 30″ 동경 2° 17′ 40″ / 북위 48.8583° 동경 2.2945° / 48.8583; 2.2945 |
상태 | 완공 |
기공식 | 1887년 |
건축 | 1887년 - 1889년 |
완공 | 1889년 |
용도 | 관측, 라디오 및 TV 방송, 관광용. |
높이 | |
안테나/첨탑 | 324 m |
지붕 | 300.65 m |
회사 | |
건축가/건축회사 | 귀스타브 에펠 |
구조 엔지니어 | 귀스타브 에펠 |
에펠 탑(프랑스어: Tour Eiffel, [tuʁ ɛfɛl])은 1889년 파리 마르스 광장에 지어진 탑이다. 프랑스의 대표 건축물인 이 탑은 격자 구조로 이루어져 파리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며, 매년 수백만 명이 방문할 만큼 세계적인 유료 관람지이다. 이를 디자인한 프랑스 공학자 및 건축가 귀스타브 에펠의 이름에서 명칭을 얻었으며, 1889년 프랑스 혁명 100주년 기념 세계 박람회의 출입 관문으로 건축되었다.
에펠 탑은 그 높이가 324 m(1,063 ft)이며, 이는 81층 높이의 건물과 맞먹는 높이이다. 1930년 크라이슬러 빌딩이 완공되기 전까지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었다. 방송용 안테나를 제외하고도, 2004년 지어진 미요 교에 이어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높은 구조물이다.
관광객을 위해 3개 층이 개방되어 있다. 첫 번째 층과 두 번째 층 까지는 표를 구입해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통해 올라갈 수 있다. 첫 번째 층까지의 높이와 첫 번째 층부터 두 번째 층까지의 높이는 각각 300 계단이 넘는다. 가장 높은 세 번째 층은 엘리베이터로만 올라갈 수 있다. 첫 번째 층과 두 번째 층에는 음식점이 운영중이다.
에펠 탑은 여러 영화에서 배경 화면으로 자주 보여지면서 프랑스와 파리 모두를 나타내는 가장 눈에 띄는 상징물이 되었다.
밤이 되면, 매 시각 정각부터 10분간 에펠탑이 반짝 거리는 쇼를 볼 수 있다.
이 구조물은, 프랑스 혁명의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개최한 세계 박람회인, 1889년 만국 박람회의 입구로서 1887년부터 1889년까지 건축되었다. 모리스 쾨클랭의 구조 설계를 바탕으로, 300명의 작업자가 정련된 부품(단단히 제련된 건축용 철제) 18,038 조각을 50여 만 개의 리벳을 이용해 조립하였다. 이 작업에 공동으로 참여한 건축가는 에밀 누기에와 모리스 쾨클랭, 그리고 스테펭 소베스트르였다.[1] 에펠 탑은 현대의 마천루들과는 다르게, 두개의 층 외에는 아무런 외벽이 없는 열린 형태이기 때문에 사고의 위험이 매우 컸다. 하지만, 에펠이 가드레일과 가림판 등의 안전 조치를 해놓은 덕에 단 한 명만 사망했다. 탑은 1889년 3월 31일 준공식을 하였고, 같은 해 5월 6일 일반에 공개되었다.
이 탑은 처음 지어졌을 때, 많은 이로부터 거슬린다는 비난을 받았다. 당시의 신문은 파리 예술 협회가 실은 비난조의 글들로 채워졌다. 가장 널리 인용되는 문장은 1892년 미국 정부 출판 부서에서 윌리엄 왓슨이 발간한, <<파리 만국 박람회: 토목공학, 공공 토목 공사와 건축>> 에서 쓰인 "향후 20년간 우리가 도시 전체에서 보게 될 이것은 수 세기에 걸쳐 내려온 도시 미관을 위협하고 있고, 우리는 철판으로 엮인 역겨운 기둥의 검게 얼룩진 역겨운 그림자를 보게 될 것이다."라는 문구이다.[2] 이 문서의 공표에는 장 루이 에른스트 메소니에, 샤를 구노, 샤를 가르니에, 장레옹 제롬, 윌리암 아돌프 부그로, 그리고 알렉상드르 뒤마가 참여하였다.
탑을 싫어했던 소설가 모파상은[3] 점심을 의도적으로 탑 안의 식당에서 해결했다. 왜냐는 질문에 대한 그의 답은, 이곳이 파리에서 유일하게 그 건물을 볼 수 없는 곳이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할리우드 영화에 정말 자주 등장하던 장면은 파리의 창문에서 탑이 보이는 풍경을 찍은 것이다. 실제로는, 7층으로 제한된 파리의 건물 높이 제한 정책으로 인해 극히 일부의 높은 건물에서만 탑 전체를 볼 수가 있다.
에펠은 처음에 탑을 20년 간 세울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원래는 1909년에 소유권이 파리 시에 넘겨진 뒤 철거되었어야 했다. 시에서는 애초에 탑을 무너뜨릴 계획이었으나(디자인 공모의 조건에 탑이 임의로 철거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 탑을 통신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이 증명되면서 기한이 지나서도 그 자리에 남아있게 되었다. 프랑스군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 벌어진 제1차 마른 전투에서 파리 시내의 택시들을 최전선에 투입할 때 이 탑을 이용하였다.
1889년 3월 31일 준공되었고, 1889년 5월 6일 개관하였다. 이것을 세운 프랑스의 교량기술자 A.G.에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높이는 984피트(약 300m)로 그 이전에 건설된 어떤 건물에 비해서도 약 2배에 이르는 높이였다. 완공 당시 모파상과 같은 예술가와 지식인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재료로는 프랑스에서 제조된 7,300t의 시멘트 마르탕 평로강이 사용되었다. 탑에는 3개소에 각각 전망 테라스가 있다. 파리의 경치를 해치는 것이라고 해서 심한 반대가 있었으나 그대로 남아 무전탑(無電塔)으로서 이용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55피트의 텔레비전 안테나가 덧붙여져서 텔레비전의 송신탑으로 사용되고 있다. 탑의 높이는 건설 후 약 40년간 인공 건조물로서는 세계 최고였다.
1889년 9월 10일
1910년
1912년 2월 4일
1914년
1925년
1930년
1925년 ~ 1934년
1940년 ~ 1944년
1956년 1월 3일
1957년
1980년대
1984년 3월 31일
1987년
1991년 10월 27일
1995년 7월 14일
1999년 12월 31일
2002년 11월 28일
2003년 7월 22일
2004년
2008년
2014년 10월
에펠 탑의 금속 구조 전체의 무게는 총 7,300 톤이며, 비금속 자재를 포함하면 대략 10,000 톤이 된다. 이 7,300 톤의 금속 구조물을 녹일 경우, 금속이 세제곱미터 당 7.8 톤의 밀도로 채워진다고 할 때 125 x 125 미터의 네모난 틀에 고작 6 cm 밖에 채워지지 않게 된다. 가장 낮은 온도에서 탑의 높이는 위로부터 18 cm 가량 줄어들게 되는데 이는 금속의 열적 팽창(수축)에 따른 것이다.
탑이 지어졌을 당시, 사람들은 그 대담한 모양에 놀라워했다. 에펠은 이 예술적인, 혹은 보는 사람에 따라 비예술적인 것을 만드는 데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받고 기술이 아닌 그 디자인에 대해 욕설을 들었다. 하지만, 에펠과 그의 기술자들은 숙련된 다리 건설자로서 풍력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었고 만일 그들이 세계 최고 높이의 구조물을 세우게 될 경우 그것이 바람을 버텨야 한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 신문지 <<Le Temps>> 에서 취재한 내용에서 에펠은 이렇게 말했다.
“ | 지금껏 내가 이 탑을 디자인하는 데 있어서 가장 신경쓰고 있는 현상이 무엇이었나? 그것은 바람의 저항이었다. 나는, 수학적인 계산이 알려주는 당연한 형태를 따르고 [...] 강함과 아름다움의 커다란 인상을 심어주게 될 이 기념물의 바깥 모서리가 가진 곡선을, 결국 이것이 바라보는 이들의 눈에 묵직한 디자인 그 자체로 다가가도록 지켜내왔다. | ” |
— 프랑스 신문지 Le Temps 1887년 2월 14일자[14]
|
탑의 형태는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는 경험적인 방법과 도면적 방법으로부터, 전체적인 수학적 틀 없이 정해졌다. 탑에 대한 신중한 실험 결과 탑의 모양은 기본적으로 지수 형태를 나타냈다.
이에 대해 수 년간 몇가지 해석이 제시되었는데, 최근의 것은 탑의 모든 지점에서의 풍압과 각 지점의 건축 구조가 받는 장력간의 균형에 기반한 비선형 적분 방정식이다.[15][16] 탑은 바람에 6~7 cm 흔들린다.[17]
주로 녹을 방지하기 위해 7년에 한 번씩 도색작업을 하는데, 한 번에 50에서 60톤의 페인트를 칠한다.
지면에 있는 관찰자가 보았을 때 균일한 모습을 나타낼 수 있도록 탑에는 세 종류의 페인트가 칠해졌는데, 아랫부분은 가장 어두운 색상을, 윗부분은 가장 밝은 색상의 페인트를 사용하였다. 페인트를 새로 갈 때가 되면, 탑은 회갈색빛으로 칠해진다.[18] 첫 번째 층에는 다음 페인트 칠이 필요한 때를 정하기 위한 자동 투표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유일하게 비구조물인 부분은 스테펭 소베스트르의 스케치에 추가된 네 개의 장식용 격자 아치로, 방문객들에게 이 구조물이 안전하다고 안심시키는 역할과, 주변 건축물들을 바라보는 구도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였다.[19] [20] [21]
에펠 탑에는 당대의 프랑스 과학자 · 공학자 · 수학자 72명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이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에펠 탑",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 - 3D Model - 3D CAD - 3D Building - 3D monument - 3D Map - 3D City - 3D GIS - LIDAR - CityGML - Paris London Berlin Rome Sydney Barcelona Vienna Wien Budapest Madrid Lon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