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censed under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Jeff Dahl).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0년 9월) |
아누비스 | ||||||
죽은 자의 수호신이자 시체 방부처리의 신 | ||||||
이름의 신성문자 표기 |
| |||||
---|---|---|---|---|---|---|
신앙중심지 | 아시우트, 키노폴리스 | |||||
상징 | 이미우트 주물, 도리깨 | |||||
성별 | 남신 | |||||
배우자 | 안푸트 | |||||
부모 | 라 또는 네프티스와 세트 또는 오시리스 | |||||
형제자매 | 호루스, 세베크 | |||||
자식 | 케베체트 |
아누비스(Anubis, 이집트어를 라틴어로 옮겨적음:inpu, 고대그리스어:Ἄνουβις)는 이집트 신화에서 망자를 미라의 형태로 만들어 사후세계로 인도하는 신으로서, 자칼의 머리를 하고 있다.
이집트에서도 ²비교적 오래전부터 숭배되고 있던 신으로, 망자의 신이며 개 또는 자칼의 머리 부분을 가지는 반수의 모습이거나 또는 자칼 그 자체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 모습은 세트의 모델이 된 동물들과 닮고 있다. 망자의 신이라는 이미지는, 고대 이집트에서 사체의 고기를 요구해 묘지의 주의를 배회하는 개나 자칼의 모습이 마치 망자를 지켜주는 것이라고 착각되어 전해져 왔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그 몸은 미라를 만들 때에 방부 처리를 위해서 사체에 타르를 바르기 때문에 그와 관련해 검게 표현한다.
아누비스는 초기에는 라의 아들로 기록되었으나 이후 네프티스가 어머니, 아버지는 네프티스의 남편인 세트 혹은 오시리스이다.
아누비스는 오시리스가 세트에 의해 살해당했을 때에, 그의 시체에 방부 처리를 가했다고 알려져 미라 만들기의 감독관으로 표현된다.[1] 또한 죽은 인간의 혼을 신속하게 명계로 옮겨야 하기 때문에 다리가 매우 빠르다고 여겨진다.
오시리스가 부활해 명계를 지배하게 될 때에도 그를 보좌해 사망자를 인도하는 책임을 지며, 그 모습은 사자의 서나 무덤의 벽면 등에 그려져 있다.
이집트가 그리스에 병합되었을 때, 이집트 신화와 그리스 미술과의 융합이 발생했다. 바티칸 미술관에는 헬레니즘에 의하여 표현된 아누비스 상이 있다. 인도자로서, 이것을 그리스의 전령의 신 헤르메스와 융합하여 헤르마누비스라고 부른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이집트 신화 | ||
---|---|---|
주요 교리 | ||
이집트 태초신 | ||
태양신 | ||
라(레)의 딸들 | ||
엔네아드 | ||
그외 신들 | ||
아크나톤의 유일신 | ||
서적 | ||
기타 | ||
주요도시 | ||
|
이 글은 이집트 신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아누비스",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model,library,rendering,Inca,Maya,Egypt,Pyramids,Bible, Quoran,Gizeh,Greek,Ancient,Medival Times, Stone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