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CADENAS

Social Share

수은 (31943 views - Periodic Table Of Elements)

수은(水銀, 영어: mercury; quicksilver 머큐리; 퀵실버[*])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Hg(←라틴어: hydrargyrum 히드라르기룸[*]), 원자 번호는 80이다. 무겁고 은색의 전이 금속으로, 수은은 섭씨 30도 부근에서 액체 상태인 다섯 원소 중 하나이다.(나머지 넷은 금속인 세슘, 프랑슘, 갈륨과 비금속인 브로민) 진사에서 주로 얻는다. 수은 원자에 고속의 베릴륨 원자를 충돌시키면 양성자가 하나 날아가서 금원자를 만들 수 있지만 1년동안 동일한 작업을 한다고 해도 단0.00018g의 금만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채산이 맞지 않아 사용되지 않는다. 상온에서 액체인 금속으로 은백색의 금속광택이 나는 무거운 액체이다. 고체로 만들면 주석백색의 금속광택을 띠며, 전성, 연성이 크다. 즉 쉽게 늘어나고 쉽게 펴지는 성질이 있다. 수은은 철·니켈·코발트·마그네슘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금속과 합금을 만들 수 있는데 이를 아말감이라 한다. 염산에는 녹지 않지만, 질산에는 녹아 질산수은이 된다. 공기 중에서는 건조할 경우에는 안정하지만 습한 공기 중에서는 표면이 산화하여 회색 피막이 생긴다. 300℃ 이상에서 산화수은이 되고, 400℃를 넘으면 다시 분해하여 수은이 된다. 또 황과 서로 문지르면 쉽게 황화수은이 된다.
Go to Article

수은

수은

수은
수은(80Hg)
80 AuHgTl
Cd

Hg

Cn
80Hg
일반적 성질
, 주기, 구역 12족, 6주기, d-구역
화학 계열 전이 금속
겉보기 은색
원자 질량 200.59(2) g/mol
전자 배열 [Xe] 4f14 5d10 6s2
준위전자 2, 8, 18, 32, 18, 2
물리적 성질
상태 액체
밀도 (실온) (액체) 13.534 g·cm−3
녹는점 234.32 K
끓는점 629.88 K
융해열 2.29 kJ/mol
기화열 59.11 kJ/mol
열용량 (25 °C) 27.983 J/(mol·K)
증기압
압력(Pa) 1 10 100 1 k 10 k 100 k
온도(K) 315 350 393 449 523 629
원자의 성질
산화수 2, 1 (약염기성 산화물)
전기 음성도 2.00 (폴링 척도)
이온화 에너지 1차: 1007.1 kJ/mol
2차: 1810 kJ/mol
3차: 3300 kJ/mol
원자 반지름 150 pm
원자 반지름 (계산) 171 pm
공유 반지름 149 pm
판데르발스 반지름 155 pm
그 밖의 성질
결정 구조 삼방정계
자기적 질서 반자성체
전기저항률 (25 °C) 961 nΩ·m
열전도율 (300 K) 8.30 W/(m·K)
열팽창계수 (25 °C) 60.4 µm·m−1·K−1
음속 (액체, 20 °C) 1451.4 m/s
CAS 등록번호 7439-97-6
주요 동위 원소
동위체 존재비 반감기 DM DE
(MeV)
DP
194Hg 인공 444 y ε 0.040 194Au
195Hg 인공 9.9 h ε 1.510 195Au
196Hg 0.15% 안정
197Hg 인공 64.14 h ε 0.600 197Au
198Hg 9.97% 안정
199Hg 16.87% 안정
200Hg 23.1% 안정
201Hg 13.18% 안정
202Hg 29.86% 안정
203Hg 인공 46.612 d β- 0.492 203Tl
204Hg 6.87% 안정
동위 원소 목록

수은(水銀, 영어: mercury; quicksilver 머큐리; 퀵실버[*])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Hg(←라틴어: hydrargyrum 히드라르기룸[*]), 원자 번호는 80이다. 무겁고 은색의 전이 금속으로, 수은은 섭씨 30도 부근에서 액체 상태인 다섯 원소 중 하나이다.(나머지 넷은 금속인 세슘, 프랑슘, 갈륨과 비금속인 브로민) 진사에서 주로 얻는다. 수은 원자에 고속의 베릴륨 원자를 충돌시키면 양성자가 하나 날아가서 원자를 만들 수 있지만 1년동안 동일한 작업을 한다고 해도 단0.00018g의 금만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채산이 맞지 않아 사용되지 않는다.

상온에서 액체인 금속으로 은백색의 금속광택이 나는 무거운 액체이다. 고체로 만들면 주석백색의 금속광택을 띠며, 전성, 연성이 크다. 즉 쉽게 늘어나고 쉽게 펴지는 성질이 있다. 수은은 ·니켈·코발트·마그네슘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금속과 합금을 만들 수 있는데 이를 아말감이라 한다. 염산에는 녹지 않지만, 질산에는 녹아 질산수은이 된다. 공기 중에서는 건조할 경우에는 안정하지만 습한 공기 중에서는 표면이 산화하여 회색 피막이 생긴다. 300℃ 이상에서 산화수은이 되고, 400℃를 넘으면 다시 분해하여 수은이 된다. 또 과 서로 문지르면 쉽게 황화수은이 된다.

수은의 팽창률

수은은 팽창률이 크며, 또한 온도가 변해도 팽창률이 거의 일정하다. 그래서 수은은 온도계를 만드는 데 많이 사용된다. 온도계는 온도에 따른 물질부피 변화를 이용하여 만드는 것으로, 주변의 온도가 높아지면 수은의 부피가 커져 수은 막대의 높이가 높아진다. 따라서 온도계 상의 높은 숫자를 가리키게 되는 것이다. 수은은 팽창률이 크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수은 막대의 높이 변화가 눈에 잘 보이며, 팽창률이 넓은 온도 범위에서 일정하기 때문에 눈금을 정확히 가리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용도로 기압계 등의 과학 기구에 사용된다. 그러나 수은 온도계는 의료용이나 과학 실험 등에서 독성이 있어 안전한 알코올 온도계나 디지털 온도계 등으로 점차 바뀌어가고 있다.

수은의 표면장력

수은은 표면장력이 매우 큰 물질로, 15℃에서 물의 표면장력이 0.0735 N/m(뉴턴 퍼 미터)인데 비해 수은의 표면장력은 무려 0.487N/m에 이른다. 때문에 수은 방울을 유리 위에 떨어뜨리면 구형에 가깝게 뭉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수은 중독

수은은 중금속이라서 중독을 일으킨다. 수은은 증발하기 쉬워 무색의 기체를 만든다. 일반적으로 생선의 섭취나 물, 흙 등을 통해 수은이 체내로 들어오는데, 이런 일을 되풀이하면 몸에서 수은 중독 증세가 일어난다. 수은은 신경계를 망가뜨려서 언어 장애, 운동 장애 등이 나타나고 심하면 사지 마비도 일으킬 수도 있다. 수은을 이용한 합금인 아말감은 치과 재료로 쓰이며, 수은전지도 아직까지 쓴다. 그래서 인류는 수은 중독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물고기는 몸안에 수은을 쉽게 쌓는데, 먹이사슬 위쪽으로 갈수록 수은이 더 많이 쌓인다. 그래서 먹이사슬 정점인 상어나 참치, 사람 같은 생명체에게는 수은이 가장 많이 쌓인다. 그리고 중금속이 몸 안으로 들어오면, 빼내기가 무척 어렵다. 그리고 화학식에서 Hg가 들어간 것들은 모두 맹독물이다.

일례로 진시황은 영생을 위해 불로초를 찾으려고 했으나 불로초는 없었으며 그의 주치의들은 '수은'을 처방하게되어 진시황은 영생 불멸의 물질로 '수은'을 사용하게 되었다. 수은은 소량 섭취시 일시적으로 피부가 팽팽해져 진시황은 수은을 불로 장생 약으로 믿게 되었던 것이다. 그 당시 '수은'은 아주 귀하여 금이나 은과 같은 귀금속과 같았는데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은 전국의 수은을 모아 수은으로 연못을 만들어 놓고 수은을 먹고 얼굴에 발라 결국 수은 중독으로 코가 썩고 정신병이 생겨 폭정을 거듭하다 마침내 최 측근 경호 무사들에게 살해당했다는 기록이 있다.

역사

고대로부터 알려진 중요한 금속으로, 중국·인도 등에서도 많이 사용되었으며, BC 1500년경의 이집트의 분묘에서도 발견되었으며 진시황릉을 지을 때 물 지형을 표현하려고 쓰기도 했다. 진사를 태워 수은을 추출하는 일에 대해서는 BC 300년경 로마테오프라스투스에 의하여 처음으로 확실하고 상세한 보고가 기록되었으며, 6세기 말경에는 의 광석에서 을 추출하는 데에 이미 수은이 이용되었다.

수은이 액체라는 점과, 여러 가지 금속을 녹여 아말감을 만든다는 점은 특히 연금술사들에게 주목을 받았다. 즉, 수은은 모든 금속의 공통 성분이며, 수은의 함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어떤 금속을 다른 금속으로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라틴어로 'hydrargyrum'이라고 하며, 이것은 그리스어의 물을 뜻하는 'hydr'와 은을 뜻하는 'argyros'에서 만들어진 말이다. 라틴어로는 'mercurium'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중세 유럽에서 ··수은·구리··주석·의 7종을 태양계에 속하는 별인 태양··수성·금성·화성·목성·토성에 대응시켰는데, 수은은 수성을 뜻하는 'mercury'와 관계가 있다고 하여 명명된 것이다. 영어의 'mercury'와 프랑스어의'mercure'는 이 말에서 연유한다.

같이 보기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수은",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Periodic Table Of Elements

element,system,atom,molecule,metal,halogen,noble gas,chemical,chemi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