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CADENAS

Social Share

루비듐 (22385 views - Periodic Table Of Elements)

루비듐(←영어: rubidium 루비디엄[*], 문화어: 루비디움←독일어: Rubidium 루비디움[*])은 화학 원소로 원소 기호는 Rb이고 원자 번호는 37이다. 루비듐은 무르고, 은백색의 알칼리 금속 이다. 원자량은 85.4678이다. 자연적인 루비듐은 반응이 격렬하고 아주 빠른 산화 같은 다른 알킬리 금속의 성질을 가지고있다. 자연적인 루비듐은 두 이성질체를 가지고 있다. : 85Rb, 은 전체 루비듐의 72%를 차지하는 안정적인 루비듐이다. 나머지 28%는 방사성 물질인 87Rb 이며 반감기는 488억년이다. 이는 우주의 나이의 3배 보다 더 길다. 독일 화학자 Robert Bunsen 와 Gustav Kirchhoff 새로운 flame spectroscopy라는 방법으로 1861년 루비듐을 발견했다. 루비듐의 화합물은 다양한 화학적 ,전자적 응용을 가지고 있다. 루비듐 금속은 잘 증발되며 편리한 흡수 스펙트럼 범위를 가지고 있어 주로 레이저 에 의한 원자 조작에 잘 쓰인다. 루비듐은 유기체에 필수적이라고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실제로 루비듐 이온은 어떤 면에서는 칼륨 이온과 비슷하게 활발히 식물과 동물 세포에 의해 섭취된다.
Go to Article

루비듐

루비듐

루비듐(37Rb)
37 KrRbSr
K

Rb

Cs
37Rb
일반적 성질
, 주기, 구역 1족, 5주기, s-구역
화학 계열 알칼리 금속
겉보기 은백색
원자 질량 85.4678(3) g/mol
전자 배열 [Kr] 5s1
준위전자 2, 8, 18, 8, 1
물리적 성질
상태 고체
밀도 (실온) 1.532 g·cm−3
액체 밀도 (녹는점) 1.46 g·cm−3
녹는점 312.46 K
끓는점 961 K
융해열 2.19 kJ/mol
기화열 75.77 kJ/mol
열용량 (25 °C) 31.060 J/(mol·K)
증기압
압력(Pa) 1 10 100 1 k 10 k 100 k
온도(K) 434 486 552 641 769 958
원자의 성질
산화수 1
(강염기성 산화물)
전기 음성도 0.82 (폴링 척도)
이온화 에너지 1차: 403.0 kJ/mol
2차: 2633 kJ/mol
3차: 3860 kJ/mol
원자 반지름 235 pm
원자 반지름 (계산) 265 pm
공유 반지름 211 pm
판데르발스 반지름 244 pm
그 밖의 성질
결정 구조 체심 입방정계
자기적 질서 상자성[1]
전기저항률 (20 °C) 128 nΩ·m
열전도율 (300 K) 58.2 W/(m·K)
음속 (막대) (20 °C) 1300 m/s
영률 2.4 GPa
모스 굳기 0.3
브리넬 굳기 0.216 MPa
CAS 등록번호 7440-17-7
주요 동위 원소
동위체 존재비 반감기 DM DE
(MeV)
DP
83Rb 인공 86.2d ε - 83Kr
γ 0.52
0.53
0.55
-
84Rb 인공 32.9d ε - 84Kr
β+ 1.66
0.78
84Kr
γ 0.881 -
β- 0.892 84Sr
85Rb 72.1685% 안정
86Rb 인공 18.65d β- 1.775 86Sr
γ 1.0767 -
87Rb 27.835% 4.88×1010y β- 0.687 87Sr
동위 원소 목록

루비듐(←영어: rubidium 루비디엄[*], 문화어: 루비디움←독일어: Rubidium 루비디움[*])은 화학 원소원소 기호는 Rb이고 원자 번호는 37이다. 루비듐은 무르고, 은백색의 알칼리 금속 이다. 원자량은 85.4678이다. 자연적인 루비듐은 반응이 격렬하고 아주 빠른 산화 같은 다른 알킬리 금속의 성질을 가지고있다. 자연적인 루비듐은 두 이성질체를 가지고 있다. : 85Rb, 은 전체 루비듐의 72%를 차지하는 안정적인 루비듐이다. 나머지 28%는 방사성 물질87Rb 이며 반감기는 488억년이다. 이는 우주의 나이의 3배 보다 더 길다.

독일 화학자 Robert BunsenGustav Kirchhoff 새로운 flame spectroscopy라는 방법으로 1861년 루비듐을 발견했다. 루비듐의 화합물은 다양한 화학적 ,전자적 응용을 가지고 있다. 루비듐 금속은 잘 증발되며 편리한 흡수 스펙트럼 범위를 가지고 있어 주로 레이저 에 의한 원자 조작에 잘 쓰인다.

루비듐은 유기체에 필수적이라고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실제로 루비듐 이온은 어떤 면에서는 칼륨 이온과 비슷하게 활발히 식물동물 세포에 의해 섭취된다.

특징

루비듐은 아주 부드럽고, 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은백색의 물질이다. 루비듐은 비방사성 알칼리 금속중 두 번째로 많이 양전기를 띤다. 녹는점은 39.3 °C (102.7 °F) 이다. 다른 알칼리 금속과 비슷하게 루비듐 금속은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며 수은, 세슘합금 , 칼륨아말감을 형성한다. 하지만 같은 족인 리튬과는 아말감을 형성하지 않는다. 약한 방사성인 칼륨과 강한 방사성인 세슘과 같이, 물과 루비듐의 반응은 보통 수소 기체를 점화하는데 충분히 강력하다. 루비듐은 자발적으로 공기 안에서 점화한다고 보고된 적이 있다..[2] 루비듐은 406 kJ/mol의 아주 작은 이온화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3] 루비듐과 칼륨은 불꽃 실험에서 아주 비슷한 보라색을 보여준다. 이 때문에 이 둘을 구별하는데 분광학이 필요하다.

각주

  1.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elements and inorganic compounds, in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81th edition, CRC press.
  2. Ohly, Julius (1910). 〈Rubidium〉. 《Analysis, detection and commercial value of the rare metals》. Mining Science Pub. Co. 
  3. Moore, John W; Stanitski, Conrad L; Jurs, Peter C (2009). 《Principles of Chemistry: The Molecular Science》. 259쪽. ISBN 978-0-495-39079-4. 

외부 링크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루비듐",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Periodic Table Of Elements

element,system,atom,molecule,metal,halogen,noble gas,chemical,chemi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