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3D CAD supplier models have been moved to 3Dfindit.com, the new visual search engine for 3D CAD, CAE & BIM models.
You can log in there with your existing account of this site.
The content remains free of charge.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Unkown).
| |||||||||||||||||||||||||||||||
일반적 성질 | |||||||||||||||||||||||||||||||
---|---|---|---|---|---|---|---|---|---|---|---|---|---|---|---|---|---|---|---|---|---|---|---|---|---|---|---|---|---|---|---|
족, 주기, 구역 | 1족, 4주기, s-구역 | ||||||||||||||||||||||||||||||
화학 계열 | 알칼리 금속 | ||||||||||||||||||||||||||||||
겉보기 | 은백색 | ||||||||||||||||||||||||||||||
원자 질량 | 39.0983(1) g/mol | ||||||||||||||||||||||||||||||
전자 배열 | [Ar] 4s1 | ||||||||||||||||||||||||||||||
준위별 전자 수 | 2, 8, 8, 1 | ||||||||||||||||||||||||||||||
물리적 성질 | |||||||||||||||||||||||||||||||
상태 | 고체 | ||||||||||||||||||||||||||||||
밀도 (실온) | 0.89 g·cm−3 | ||||||||||||||||||||||||||||||
액체 밀도 (녹는점) | 0.828 g·cm−3 | ||||||||||||||||||||||||||||||
녹는점 | 336.53 K | ||||||||||||||||||||||||||||||
끓는점 | 1032 K | ||||||||||||||||||||||||||||||
융해열 | 2.321 kJ/mol | ||||||||||||||||||||||||||||||
기화열 | 76.90 kJ/mol | ||||||||||||||||||||||||||||||
열용량 (25 °C) | 29.600 J/(mol·K) | ||||||||||||||||||||||||||||||
증기압 | |||||||||||||||||||||||||||||||
| |||||||||||||||||||||||||||||||
원자의 성질 | |||||||||||||||||||||||||||||||
산화수 | 1 (강염기성 산화물) | ||||||||||||||||||||||||||||||
전기 음성도 | 0.82 (폴링 척도) | ||||||||||||||||||||||||||||||
이온화 에너지 | 1차: 418.8 kJ/mol 2차: 3052 kJ/mol 3차: 4420 kJ/mol | ||||||||||||||||||||||||||||||
원자 반지름 | 220 pm | ||||||||||||||||||||||||||||||
원자 반지름 (계산) | 243 pm | ||||||||||||||||||||||||||||||
공유 반지름 | 196 pm | ||||||||||||||||||||||||||||||
판데르발스 반지름 | 275 pm | ||||||||||||||||||||||||||||||
그 밖의 성질 | |||||||||||||||||||||||||||||||
결정 구조 | 체심 입방정계 | ||||||||||||||||||||||||||||||
자기적 질서 | 상자성 | ||||||||||||||||||||||||||||||
전기저항률 | (20 °C) 72.0 nΩ·m | ||||||||||||||||||||||||||||||
열전도율 (300 K) | 102.5 W/(m·K) | ||||||||||||||||||||||||||||||
열팽창계수 | (25 °C) 83.3 µm·m−1·K−1 | ||||||||||||||||||||||||||||||
음속 (막대) | (20 °C) 2000 m/s | ||||||||||||||||||||||||||||||
전단 탄성 계수 | 1.3 GPa | ||||||||||||||||||||||||||||||
모스 굳기 | 0.4 | ||||||||||||||||||||||||||||||
브리넬 굳기 | 0.363 MPa | ||||||||||||||||||||||||||||||
CAS 등록번호 | 7440-09-7 | ||||||||||||||||||||||||||||||
주요 동위 원소 | |||||||||||||||||||||||||||||||
| |||||||||||||||||||||||||||||||
동위 원소 목록 |
칼륨(문화어: 칼리움←독일어: Kalium 칼리움[*]) 또는 포타슘(영어: potassium 퍼태시엄[*] [pətӕsiəm]), 칼리(문화어: 카리←라틴어: kali 칼리[*])는 알칼리 금속에 속하는 1족 화학 원소로 기호는 K(←라틴어: kalium 칼리움[*])이고 원자 번호는 19이다. 무른 은백색 금속으로 바닷물이나 다른 광물에 주로 화합물의 형태로 널리 분포한다. 공기나 물 속에서 급격히 반응하여 산화하며, 나트륨과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다.
2000년 대한화학회에서 공식 명칭을 IUPAC 명칭인 포타슘으로 개정하되, 당분간은 칼륨도 혼용이 가능하다고 정했다.[1][2] 대한화학회에서는 2014년부터 포타슘 단독 표기로 방침을 바꿨다.
현재의 국립국어원 지정 표준어는 칼륨이다.
1가 양이온 칼륨(K+)이 포함된 염 즉, 질산 칼륨(KNO2), 염화 칼륨(KCl), 황화 칼륨(K2S), 황산 칼륨(K2SO4), 탄산 칼륨(K2CO3)은 물에 잘 녹는다.[3]
섭취된 칼륨이 흡수되고 문맥 순환으로 들어옴에 따라 인슐린 분비가 자극된다. 인슐린은 또한 세포막의 나트륨-칼륨 펌프(Na+/K+-ATPase)를 자극하여 칼륨이 세포내로 들어오는 것을 촉진하기 때문에, 당뇨병과 같이 인슐린 합성에 문제가 있는 환자들은 고칼륨혈증이 발생하기 쉽다.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β2-adrenergic agonists) 또한 칼륨이 세포 내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하며, 세포외의 칼륨 농도가 증가되면 앤지오텐신에 의해 알도스테론 분비가 자극되고, 이것이 칼륨의 배출량을 증가시킨다. 체내 칼륨 균형이 정상인 상태에서 칼륨 배출은 체내의 칼륨 공급에 따라 조절되는데, 섭취한 칼륨의 약 90%는 소변으로 배출되고 나머지 약 10%는 대변으로 배출된다.[4]
또한 산혈증이나 알칼리혈증도 칼륨의 세포간 이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산혈증이 있는 경우에는 세포외의 수소 양이온 농도가 높아지면서 수소 양이온이 세포 내로 들어오고 전해질 균형을 맞추기 위해 칼륨이 세포 밖으로 나가게 된다. 반대로 알칼리혈증이 있는 경우는 칼륨이 세포 안으로 유입된다.[5]
칼륨은 물과 격한 반응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수산화 칼륨 (KOH)과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이러한 반응은 발열성이 있으며 이에 따른 온도는 발생하는 수소를 불붙게 할만큼 강력하다. 다시 말해 주위에 산소도 존재하면 폭발할 수도 있다. 수산화 칼륨은 피부를 태울 정도의 강알칼리이다.
|초판발행일자=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date=, |연도=와 |날짜=가 일치하지 않음
(도움말)
|date=
(도움말)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
위키낱말사전에 이 문서와 관련된 글이 있습니다. |
주기율표 | ||||||||||||||||||||||||||||||||||||||||||||||||||||||||||||||||||||||||||||||||||||||||||||||||||||||||||||||||||||||||||||||||||||||||||||||||||||||||||||||||||||||||||||||||||||||||||||||||||||||||||||||||||||||||||||||||||||||||||||||||||||||||||||||||||||||||
---|---|---|---|---|---|---|---|---|---|---|---|---|---|---|---|---|---|---|---|---|---|---|---|---|---|---|---|---|---|---|---|---|---|---|---|---|---|---|---|---|---|---|---|---|---|---|---|---|---|---|---|---|---|---|---|---|---|---|---|---|---|---|---|---|---|---|---|---|---|---|---|---|---|---|---|---|---|---|---|---|---|---|---|---|---|---|---|---|---|---|---|---|---|---|---|---|---|---|---|---|---|---|---|---|---|---|---|---|---|---|---|---|---|---|---|---|---|---|---|---|---|---|---|---|---|---|---|---|---|---|---|---|---|---|---|---|---|---|---|---|---|---|---|---|---|---|---|---|---|---|---|---|---|---|---|---|---|---|---|---|---|---|---|---|---|---|---|---|---|---|---|---|---|---|---|---|---|---|---|---|---|---|---|---|---|---|---|---|---|---|---|---|---|---|---|---|---|---|---|---|---|---|---|---|---|---|---|---|---|---|---|---|---|---|---|---|---|---|---|---|---|---|---|---|---|---|---|---|---|---|---|---|---|---|---|---|---|---|---|---|---|---|---|---|---|---|---|---|---|---|---|---|---|---|---|---|---|---|---|---|---|---|---|---|
| ||||||||||||||||||||||||||||||||||||||||||||||||||||||||||||||||||||||||||||||||||||||||||||||||||||||||||||||||||||||||||||||||||||||||||||||||||||||||||||||||||||||||||||||||||||||||||||||||||||||||||||||||||||||||||||||||||||||||||||||||||||||||||||||||||||||||
알칼리 금속 | |||||||
---|---|---|---|---|---|---|---|
|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칼륨",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element,system,atom,molecule,metal,halogen,noble gas,chemical,chemi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