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CADENAS

Social Share

미쓰비시 그룹 (18750 views - Brands)

미쓰비시 그룹(일본어: 三菱グループ, 영어: Mitsubishi Group)은 1870년에 창립된 복합기업이다. 현재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해체된 "미쓰비시 재벌"의 계보에 있는 기업을 중심으로 활동 중이다. 미쓰비시 도쿄 UFJ 은행과 미쓰비시 상사, 미쓰비시 중공업의 3사가 미쓰비시 그룹의 핵심 기업이다. 재벌의 연장선상에 있는 기업 연합 중 가장 결속력이 강하다는 의미에서 ‘조직의 미쓰비시’라고도 불린다. 미쓰이 그룹, 스미토모 그룹과 함께 일본의 3대 재벌 그룹이다.
Go to Article

Explanation by Hotspot Model

미쓰비시 그룹

미쓰비시 그룹

미쓰비시 그룹
三菱グループ
산업 분야 복합
창립 1870년
창립자 이와사키 야타로
국가 일본
본사 도쿄 도 도쿄
핵심 인물 켄 고바야시 (CEO)
종업원 350,000명 (2010년)
웹사이트 공식 사이트

미쓰비시 그룹(일본어: 三菱グループ, 영어: Mitsubishi Group)은 1870년에 창립된 복합기업이다. 현재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해체된 "미쓰비시 재벌"의 계보에 있는 기업을 중심으로 활동 중이다. 미쓰비시 도쿄 UFJ 은행미쓰비시 상사, 미쓰비시 중공업의 3사가 미쓰비시 그룹의 핵심 기업이다. 재벌의 연장선상에 있는 기업 연합 중 가장 결속력이 강하다는 의미에서 ‘조직의 미쓰비시’라고도 불린다. 미쓰이 그룹, 스미토모 그룹과 함께 일본의 3대 재벌 그룹이다.

논란

일본 극우 기업 논란

미쓰비시는 대표적인 일본극우 기업이며, 제2차 세계 대전군수기업으로 성장했었는데 강제 연행조선인의 노동력을 사용했었다. 현재도 극우단체와 정치가를 후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극우 언론 《산케이 신문》과 함께, 일본의 대표적인 극우 성향 왜곡 교과서 '제국주의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을 후원하고 있다.[1]

강제징용 논란

미쓰비시는 일제시대 당시 조선인들을 강제 징용하여 일하게 했는데, 하시마 섬 등에서 비인간적인 대우와 급여 체불을 일삼았으며[2] 당시 미쓰비시가 주로 생산했던 제품은 가미카제 폭격을 하기 위한 제로센 전투기, 일본군잠수함을 비롯한 군용 장비군수품이였다.[3] 현재 강제징용 피해자가 미쓰비시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일본인들로 구성된 인권단체가 가담하여 미쓰비시와 법정싸움을 하고 있다.[4]

강제 징용 사과 논란

미쓰비시는 제2차 대전 당시 강제 노동에 징용됐던 미국을 포함한 다른나라의 포로와 가족들에게만 정식으로 사과를 하고 한국에만 강제징용을 했던 피해자들에게는 단 한마디에 사과를 하지 않고 오히려 법원에 상고장을 내는등의 행위를 하고 있다.[5][6]

종교단체와의 유착 논란

미쓰비시는 일본 신흥 종교 단체인 창가학회와의 유착 의혹을 사고 있다. 창가학회의 주거래 은행이 미쓰비시도쿄UFJ은행이라는 소문이 특히 유명하다.

참조문헌

  1. “미쓰비시자동차 광주판매 안 돼!”. 광주일보. 2009년 10월 5일. 
  2. “미쓰비시 징용피해자, 日서 삼보일배 시위”. 연합뉴스. 2010년 6월 23일. 
  3. "65년 전 나는 지옥을 봤다". 오마이뉴스. 2010.07.13. 
  4. “中징용피해자, 日미쓰비시에 배상 요구”. 연합뉴스. 2011년 5월 7일. 
  5. “미쓰비시 미국에는 사과... 한국에는 상고장”. YTN. 2015년 7월 21일. 
  6. “日미쓰비시 "다른나라 징용자에도 사과"…한국은 언급없어”. 연합뉴스. 2015년 7월 22일. 

같이 보기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미쓰비시 그룹",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Brands

3D,brand,good,trademark,company,copyright,g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