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3D CAD supplier models have been moved to 3Dfindit.com, the new visual search engine for 3D CAD, CAE & BIM models.
You can log in there with your existing account of this site.
The content remains free of charge.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Unkown).
고슴도치아과[1]
| ||||||||||||
| ||||||||||||
생물 분류 | ||||||||||||
---|---|---|---|---|---|---|---|---|---|---|---|---|
| ||||||||||||
속 | ||||||||||||
|
고슴도치아과는 고슴도치과를 이루는 두 개의 아과 가운데 하나로, 5개 속에 17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등에는 케라틴으로 이루어진, 털의 일종인 가시가 나 있다. 먹이는 곤충, 뱀등이 있으며, 애완용으로도 기른다. 보통 애완용 고슴도치는 고양이 먹이를 먹기도 한다.
고슴도치의 학명은 Erinaceus europaeus koreensis 이다. 몸길이 23-32cm, 꼬리길이 2.3-3.7cm이다. 귀·다리·꼬리가 짧고 몸집은 뭉툭하다. 얼굴·배·꼬리·다리 이외의 온몸에 날카로운 바늘꼴의 털이 촘촘히 나 있어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위험에 처하면 가시를 세우고 몸을 둥글게 만다. 평야나 땅 위에서 흔히 볼 수있고 야행성으로 낮에는 구멍이나 바위틈에 숨는다. 곤충·민달팽이·작은 포유류·뱀·새·새알 등을 먹고 겨울잠을 잔다. 새끼는 가시가 피부 밑에 있어 태어날 때 어미가 새끼의 가시에 찔릴 염려는 없다. 둥지는 풀잎이나 가시으로 만들며, 숲이 우거진 곳을 좋아한다. 아시아·유럽·아프리카에 분포한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현존하는 고슴도치목의 종 | |
---|---|
고슴도치아과 | |
털고슴도치아과 | |
|
이 글은 포유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고슴도치아과",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data,libary,model,catalog,rendering,skull,bone,animal,reptile,bird,insect,mammal,class,classification,order,family,species,gen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