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CADENAS

Social Share

고슴도치아과 (28469 views - Animals)

고슴도치아과는 고슴도치과를 이루는 두 개의 아과 가운데 하나로, 5개 속에 17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등에는 케라틴으로 이루어진, 털의 일종인 가시가 나 있다. 먹이는 곤충, 뱀등이 있으며, 애완용으로도 기른다. 보통 애완용 고슴도치는 고양이 먹이를 먹기도 한다.
Go to Article

Explanation by Hotspot Model

Youtube


    

고슴도치아과

고슴도치아과

고슴도치아과[1]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고슴도치목
과: 고슴도치과
아과: 고슴도치아과
(Erinaceinae)
G. Fischer, 1814
  • 본문 참조

고슴도치아과는 고슴도치과를 이루는 두 개의 아과 가운데 하나로, 5개 속에 17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등에는 케라틴으로 이루어진, 털의 일종인 가시가 나 있다. 먹이는 곤충, 등이 있으며, 애완용으로도 기른다. 보통 애완용 고슴도치는 고양이 먹이를 먹기도 한다.

고슴도치

고슴도치의 학명은 Erin­aceus europaeus koreensis 이다. 몸길이 23-32cm, 꼬리길이 2.3-3.7cm이다. 귀·다리·꼬리가 짧고 몸집은 뭉툭하다. 얼굴·배·꼬리·다리 이외의 온몸에 날카로운 바늘꼴의 털이 촘촘히 나 있어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위험에 처하면 가시를 세우고 몸을 둥글게 만다. 평야나 땅 위에서 흔히 볼 수있고 야행성으로 낮에는 구멍이나 바위틈에 숨는다. 곤충·민달팽이·작은 포유류···새알 등을 먹고 겨울잠을 잔다. 새끼는 가시가 피부 밑에 있어 태어날 때 어미가 새끼의 가시에 찔릴 염려는 없다. 둥지는 풀잎이나 가시으로 만들며, 숲이 우거진 곳을 좋아한다. 아시아·유럽·아프리카에 분포한다.

하위 분류

각주

  1. Hutterer, R.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212–217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고슴도치아과",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Animals

3D,data,libary,model,catalog,rendering,skull,bone,animal,reptile,bird,insect,mammal,class,classification,order,family,species,gen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