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3D CAD supplier models have been moved to 3Dfindit.com, the new visual search engine for 3D CAD, CAE & BIM models.
You can log in there with your existing account of this site.
The content remains free of charge.
산업 분야 | 자동차 제조업 |
---|---|
창립 | 1963년 |
창립자 | 페루치오 람보르기니 |
국가 | 이탈리아 |
본사 | 에밀리아로마냐 주 볼로냐 |
핵심 인물 | 슈테판 빙켈만 (최고경영자CEO 회장) |
제품 | 자동차 |
모기업 | 아우디 AG |
종업원 | 327명 |
웹사이트 | 람보르기니 |
람보르기니(이탈리아어: Automobili-Lamborghini S.p.A; 줄여서 Lamborghini)는 고성능의 슈퍼카 및 스포츠카를 만드는 이탈리아의 자동차 제조 업체이다. 본사는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주 볼로냐에 있다. 현재 폭스바겐 산하 고급 브랜드인 아우디의 자회사로 되어 있다. 람보르기니는 이탈리아에 있는 또 다른 슈퍼카 제조 업체 페라리와는 경쟁 관계이며, 회사의 설립도 페라리와의 악연이 시초가 되었다.
람보르기니는 자동차의 이름에 싸움소(투우소)의 이름을 붙이는 것을 선호한다.[1] 가야르도, 레벤톤, 무르시엘라고, 우라칸 아벤타도르 등 람보르기니의 다수 차종의 이름은 투우소의 이름에서 따왔다. 또한, 엠블럼 역시 투우소를 형상화한 것이다. 요즘은 우라칸, 아벤타도르, 센테나리오, 베네노를 만든다. 우라칸은 V10엔진으로, 아벤타도르는 V12엔진을 쓴다. 아벤타도르는 700마력으로 제로백이 2.8초 이며 서스팬션이 부드럽다. 미드쉽이 적용되어있다.
람보르기니의 시작점은 196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자동차 정비공으로 활약한 페루치오 람보르기니는 전쟁이 끝난 후 고향으로 돌아와 트랙터 제조업체를 세웠다. 이 업체의 이름이 바로 ‘페루치오 람보르기니 트랙토리체’였고, 현재의 람보르기니의 모체가 된 기업이다. 페루치오의 트랙터 회사에는 특징이 하나 있었는데, ‘절대 고장이 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때문에 그의 트랙터는 이탈리아 전역으로 팔려나갔다. 어렸을 때부터 자동차를 좋아했던 페루치오는 트랙터 사업으로 막대한 부를 얻은 후에 자동차 수집이 취미였는데, 그 중에는 트랙터 업체였던 람보르기니를 슈퍼카 제조업체로 탈바꿈시킨 주인공 격인 페라리 250 GT가 있었다.
페라리는 오래전부터 잦은 클러치 결함으로 오명이 자자했다. 페라리 250 GT 역시 클러치 결함이 심각했는데, 페루치오는 같은 급은 아니지만 같은 분야에서 활동하는 엔지니어로써의 호의를 기대하고 페라리에 찾아가게 된다. 그가 페라리에 찾아간 목적은 페라리 전 차종에 걸쳐 나타나는 잦은 클러치 결함을 알려주기 위함이었다. 하필 이 당시, 페라리는 F1 경주에서 끊임없는 승전보를 올리며 승승장구하고 있었고, 엔쵸 페라리도 이런 승전보에 허세가 갈수록 커져 겸손이 없던 시기였다. 이런 시기에 페루치오가 찾아갔을 때 엔쵸는 당연히 페루치오를 문전박대하며, “당신은 자동차를 볼 줄 모르는군. 트랙터나 더 많이 만들어라.”라고 말하며 큰 모욕을 줬다.
이후 페루치오는 1963년, 볼로냐에서 25 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 자동차 공장을 설립하고 마세라티나 알파 로메오 등 그 당시 이탈리아에서 유명한 자동차 제조업체의 엔지니어들과 디자이너들을 고용해서 페라리에 복수하리라 다짐한다. 이때 람보르기니의 제1의 사칙이 정해지는데, 그것이 바로 “무조건 페라리보다 빠른 자동차”였다.
첫 모델인 350GT는 1964년에 출시했다. 회사를 창립한지 겨우 1년 만에 페라리를 앞지른 자동차를 생산한 것이었다. 2년 뒤에는 1966년에는 공공도로에서 주행할 수 있는 자동차 최초로 미드십 엔진 섀시를 채택한 람보르기니 미우라를 출시했다. 미우라 역시 그 당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자동차였으며, 페라리 역시 미우라에 사용된 미드십 엔진 섀시를 따라 하기도 했다. 페루치오가 기업 운영에서 손을 뗀 후에 람보르기니의 소유주가 몇 차례 바뀌었다. 1987년에 크라이슬러에 인수됐다가 1999년부터 폭스바겐의 자회사에 소속되어 있다.
컨셉트카 | 년도 | 엔진 | 마력 | 최고속력 |
---|---|---|---|---|
아스테리온(Asterion) | 2014- | 람보르기니 V10/PHEV | 910hp | |
에고이스타(Egoista) | 2013- | 람보르기니 V10 | 600hp | |
에스토크(Estoque) | 2008- | 람보르기니 V10 | ||
Calà | 1995- | 람보르기니 V10 | 291km/h | |
컨셉트 S(Concept S) | 2005- | 람보르기니 V10 | ||
자가토 랩터(Zagato Raptor) | 1996- | 람보르기니 V12 | 492hp | |
P147 Canto | 1998- | 람보르기니 V12 | ||
P147 Acosta | 1998- | 람보르기니 V12 | ||
미우라 컨셉트(Miura Concept) | 2006- | unknoun | ||
우루스 컨셉트(Urus Concept)
(2018년에 양산모델 생산 예정) |
2012- | 아우디 4.0 TFSI V8(?) | 600hp | 300+ km/h |
350GTV(아래에도 있습니다.) | 1963- | 람보르기니 V12 | 342bhp | 280km/h |
컨셉트카의 경우 정보가 정확하게 실려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향후 더 정확한 정보가 밝혀지거나 발견되면 추가 바랍니다.
람보르기니 350GTV는 바로 아래 목록에도 실려 있습니다.차 | 년도 | 엔진 | 배기량 | 최고속력 |
---|---|---|---|---|
350GTV | 1963 | 람보르기니 V12 | 3464 cm³ | 280 km/h |
350GT | 1964~1968 | 람보르기니 V12 | 3464 cm³ | 240 km/h |
400GT 2+2 | 1966~1968 | 람보르기니 V12 | 3929 cm³ | 250 km/h |
미우라 | 1966~1973 | 람보르기니 V12 | 3929 cm³ | 288 km/h |
에스파다 | 1968~1978 | 람보르기니 V12 | 3929 cm³ | 245 km/h |
이슬레로 | 1968~1970 | 람보르기니 V12 | 3929 cm³ | 248 km/h |
자라마 | 1970~1978 | 람보르기니 V12 | 3929 cm³ | 240 km/h |
우라코 | 1970~1979 | 람보르기니 V8 | 2463/2996/1994 cm³ | 230 km/h |
쿤타치 | 1974~1989 | 람보르기니 V12 | 3929/4754/5167 cm³ | 295 km/h |
실루엣 | 1976~1977 | 람보르기니 V8 | 2996 cm³ | 260 km/h |
잘파 | 1982~1989 | 람보르기니 V8 | 3485 cm³ | 240 km/h |
LM002 | 1986~1992 | 람보르기니 V12 | 5167 cm³ | 210 km/h |
디아블로 | 1990~2001 | 람보르기니 V12 | 5707/5992 cm³ | 330 km/h |
무르시엘라고 | 2001~2006 | 람보르기니 V12 | 6192 cm³ | 330 km/h |
무르시엘라고 R-GT | 2001~ | 람보르기니 V12 | 5998 cm³ | 360 km/h+ |
가야르도 | 2003~2008 | 람보르기니 V10 | 4961 cm³ | 309 km/h |
가야르도 스파이더 | 2004~ | 람보르기니 V10 | 4961 cm³ | 307 km/h |
무르시엘라고 로드스터 | 2005~2007 | 람보르기니 V12 | 6192 cm³ | 330 km/h |
가야르도 SE | 2006- | 람보르기니 V10 | 5204 cm³ | 315 km/h |
가야르도 LP550-2 발렌티노 발보니 | 2008- | 람보르기니 V10 | 5204 cm³ | 320 km/h |
가야르도 LP560-4 | 2008- | 람보르기니 V10 | 5204 cm³ | 325 km/h |
가야르도 LP570-4 | 2010- | 람보르기니 V10 | 5204 cm³ | 330 km/h |
무르시엘라고 LP640 | 2006~ 2010 | 람보르기니 V12 | 6496 cm³ | 340 km/h |
무르시엘라고 LP640 로드스터 | 2006~ 2010 | 람보르기니 V12 | 6496 cm³ | 340 km/h |
무르시엘라고 LP670-4 슈퍼벨로체 | 2008~ 2010 | 람보르기니 V12 | 6496 cm³ | 345 km/h |
레벤톤 | 2008~2009 | 람보르기니 V12 | 6496 cm³ | 345 km/h |
아벤타도르 | 2011~ | 람보르기니 V12 | 6498 cm³ | 350 km/h |
세스토 엘레멘토 | 2012- | 람보르기니 V10 | 5204 cm³ | 300+ km/h |
베네노 | 2013- | 람보르기니 V12 | 6498 cm | 354 km/h |
우라칸 LP610-4 | 2014~ | 람보르기니 V10 | 5200 cm | 325 km/h |
센테나리오 LP770-4 | 2016- | 람보르기니 V12 | 6498 cm | 350 km/h |
• 향후 더 자세한 정보가 나오면 추가 바랍니다.
람보르기니가 2011 프랑크푸르트모터쇼에 전시한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모형카의 가격이 약 53억(470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모형카의 가격은 실제 아벤타도르에 비해 10배 이상 비싼 것이며, 양산차 중 세계에서 가장 비싼 차로 알려진 자사의 세스토 엘레멘토(약 30억)보다도 2배 가까이 비싸다. 람보르기니 관계자는 "이 아벤타도르 모형카는 실제 모델의 크기를 1:8로 완벽하게 축소한 것"이라며 "시트와 헤드램프, 스티어링 휠에는 다이아몬드 장식을, 바퀴 휠은 금과 백금을, 차체 바디는 카본파이버(탄소섬유)를 사용해 만들었다"고 밝혔다. 옥션 하우스의 옥셔니어 소더비즈(Sotheby's)는 12월 경매를 통해 이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모형카를 가장 비싼 가격에 판매할 계획이라 밝혔다. 그러나 모형 제작자인 로버트 궬펜(Robert Gülpen)에게 약 66억(600만 달러)을 주고 즉시 구입도 가능하다. [1]
람보르기니의 소유주는 몇 번 바뀌었는데, 다음과 같다.
현재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람보르기니",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brand,good,trademark,company,copyright,good